목차
• 줄거리
• 주요 인물 심층 설명
• 해외 좀비물과 비교
• 결론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킹덤은 조선 시대를 배경으로 전개되는 좀비 사극입니다. 괴물을 소재로 한 장르물에 권력 다툼, 기근, 백성의 고통까지 함께 다뤄 작품성을 인정받았습니다. 이 글에서는 킹덤의 구체적인 줄거리, 주요 인물의 성격과 관계, 그리고 해외 좀비물과 비교했을 때 드러나는 차별성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줄거리
킹덤은 조선 시대를 배경으로 시작합니다. 왕이 병에 걸려 위독하다는 소문이 돌지만, 사실은 이미 죽은 상태입니다. 문제는 죽음으로 끝나지 않고, 기이한 역병으로 인해 왕이 산송장처럼 살아 움직이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이를 은폐하려는 대비와 조정 대신들은 세자 이창에게 왕을 볼 수 없게 만들고, 권력을 자신들의 손에 쥐려 합니다. 세자 이창(주지훈)은 궁 안의 음모를 의심하고, 진실을 파헤치기 위해 몰래 궁궐을 빠져나옵니다. 그는 스승의 제자이자 의녀인 서비(배두나), 그리고 충직한 신하 무영(김상호)과 함께 역병의 실체를 밝히고자 합니다. 조사 끝에 그들이 알게 된 것은, 역병이 단순한 질병이 아니라 죽은 자를 살아 움직이게 하는 괴이한 병이라는 사실입니다. 역병은 경상도 지역에서 빠르게 퍼지며, 굶주린 백성들은 시체를 먹고 살아남으려다 오히려 더 큰 재앙을 맞습니다. 낮에는 죽은 듯 잠들지만, 밤이 되면 시체들이 깨어나 사람들을 습격하는 모습은 기존 좀비물과는 다른 공포감을 줍니다. 세자는 백성을 구하고 왕실의 음모를 막기 위해 싸우지만, 정치적 상황은 녹록지 않습니다. 조정을 장악한 조학주(류승룡)와 그의 세력은 역병을 은폐하면서까지 권력을 유지하려 하고, 세자는 나라를 구해야 하는 책임과 왕위 계승의 문제까지 짊어져야 합니다. 시즌이 진행되면서 세자는 역병의 기원, 약재로 쓰이던 생사초의 정체, 그리고 이를 이용해 권력을 유지하려는 집권 세력의 실체와 마주합니다. 드라마는 좀비와 싸우는 이야기를 넘어서, 굶주림과 탐욕, 권력의 추악함을 드러내며 인간 군상극을 펼칩니다.
주요 인물 심층 설명
세자 이창(주지훈)은 정치적으로 불안한 위치에 놓여 있으면서도 백성을 먼저 생각하는 인물입니다. 처음에는 자신의 생존과 왕위 계승을 위해 움직였지만, 점차 역병의 참상을 직접 목격하면서 진정한 군주의 길을 걸어가게 됩니다. 주지훈은 고뇌와 결단을 오가는 연기를 통해 세자의 입체적인 모습을 표현했습니다. 서비(배두나)는 의녀 출신으로 생사초와 역병의 비밀을 가장 잘 아는 인물입니다. 합리적이고 침착한 태도로 세자를 돕고, 과학적 관점에서 역병을 분석합니다. 당시 여성으로서 제한된 위치에도 불구하고, 사건의 중심에서 큰 역할을 하며 극의 긴장감을 더했습니다. 또 다른인물로는 조학주(류승룡)인데요. 작품의 실질적인 악역으로,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역병조차 도구로 삼는 무자비한 인물입니다. 그는 권력 앞에서 인간성을 완전히 버린 상징적인 캐릭터로, 탐욕이 불러온 파국을 보여줍니다. 안현대감(허준호)은 세자의 조력자로 등장하는 장수로, 혼란한 상황에서도 의리와 정의를 지키는 인물입니다. 백성과 나라를 위한 헌신적인 태도는 극의 무게를 더해줍니다.
해외 좀비물과 비교
킹덤은 해외 좀비물과 비교했을 때 여러 차별점이 있습니다. 대부분의 좀비물은 현대 사회를 무대로 삼지만, 킹덤은 조선 시대라는 독특한 배경을 선택했습니다. 총이나 현대식 무기가 없는 시대에서 창, 활, 칼로 좀비에 맞서는 장면은 새로운 긴장감을 만들어냅니다. 미국의 대표작 워킹데드나 월드워Z에서는 좀비가 낮에도 활동하지만, 킹덤의 좀비는 낮에는 죽은 듯 잠들고 밤이 되면 활동한다는 설정을 가집니다. 이후 시즌에서는 이 규칙조차 뒤집히며, 예측 불가능한 공포감을 선사합니다. 워킹데드가 주로 인간 생존 공동체 간의 갈등을, 라스트 오브 어스가 인간애를 강조했다면, 킹덤은 역병을 정치적 무기로 삼는 집권 세력을 등장시킵니다. 단순한 생존 싸움이 아니라, 권력 다툼 속에서 백성이 희생되는 구조를 보여줍니다. 조선 시대 의복, 성곽, 유교적 가치관 등은 서양 좀비물에서 볼 수 없는 신선한 요소입니다. 해외 시청자들은 한국 사극 특유의 미장센과 좀비의 결합을 “독창적”이라 평가했습니다.
결론
킹덤은 조선 시대라는 독창적인 배경과 권력 다툼을 함께 다루며 새로운 차원의 이야기를 만들어냈습니다. 구체적인 줄거리를 따라가다 보면 좀비보다 더 무서운 것은 결국 인간의 탐욕과 권력임을 깨닫게 됩니다. 주요 인물들의 입체적인 서사와 세계관의 깊이는 킹덤을 단순 장르물을 넘어선 작품으로 자리매김하게 했습니다. 해외 좀비물과 비교해도 차별성이 분명해, 킹덤은 K-콘텐츠의 저력을 보여준 대표적인 드라마라 할 수 있습니다.